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27

상피내암 정보 총정리 (정의 종류 원인 증상 치료 관리) 1. 상피내암의 정의와 특징상피내암은 암세포가 상피조직 내에 국한되어 있고, 아직 주변 조직이나 림프관, 혈관 등을 침범하지 않은 초기 단계의 암을 말합니다. 영어로는 ‘Carcinoma in situ’라고 하며, ‘in situ’는 ‘제자리의’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즉, 암세포가 발생한 부위에 머물러 있고 침윤성이 없는 상태입니다. 상피세포는 우리 몸의 피부, 점막, 기관지, 자궁경부, 방광, 위장관 등의 표면을 덮는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입니다. 상피내암은 이 상피세포층 안에서만 비정상적인 증식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암과 달리 전이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조직을 침범하고 침윤암으로 진행될 .. 2025. 6. 30.
담도암 (개념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후) 정보 총정리 1. 담도암의 개념과 종류담도암(Cholangiocarcinoma)은 간에서 장으로 담즙을 운반하는 통로인 담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담도는 간내담도(간 안에 위치), 간외담도(간 밖에 위치)로 구분되며, 암의 발생 위치에 따라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첫째, 간내담도암(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은 간 내부 담도에서 발생하며 간암과 감별이 필요합니다.둘째, 간문부 담도암(Perihilar cholangiocarcinoma)은 간과 담낭이 만나는 간문부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셋째, 원위부 담도암(Distal cholangiocarcinoma)은 십이지장 가까이 위치한 담도에서 발생합니다.각 부위별로 증상, 진단 방법, 치료 방안이 다르기 때문에 초기.. 2025. 6. 30.
급성 골수성 백혈병 정보 총정리 (개념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후) 1.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의 개념과 특징급성 골수성 백혈병(AML)은 골수에서 비정상적인 미성숙 백혈구(골수구 계열 세포)가 급격히 증식하는 악성 혈액암입니다. 일반적으로 백혈병은 골수 내에서 정상적인 혈액세포 생성이 억제되어 정상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이 감소하게 됩니다. AML은 성인 백혈병 중 가장 흔하며 전체 급성 백혈병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AML의 특징은 세포 분화가 멈추어 미성숙 세포(블라스트)가 혈액 내에 다량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감염 위험 증가, 출혈 경향, 빈혈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AML은 급성 진행성 질환으로 진단 후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WHO 기준에 따라 AML은 골수 혹은 말초혈액 내에 골수모세포(blast)가 전체 핵세포의 20% 이상일 때 .. 2025. 6. 29.
경추 수핵 탈출증 (정의 증상 진단 치료 예방) 정보 총정리 1. 경추 수핵 탈출증의 정의와 발생 원인경추 수핵 탈출증은 흔히 ‘목 디스크’라고 불리며, 경추(목뼈) 사이에 위치한 디스크(추간판)의 수핵이 탈출하거나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입니다. 추간판은 외부의 섬유륜과 내부의 젤리 같은 수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노화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섬유륜이 찢어지면 수핵이 밖으로 흘러나오게 됩니다. 그 결과 신경근이나 척수를 압박하게 되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납니다.이 질환은 주로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 증가로 인해 20~30대 젊은 층에서도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노화에 따른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 반복적인 목의 과사용, 갑작스러운 외상, 잘못된 자세 등이 있습니다. 특히 장시간 고개를 숙인 채.. 2025. 6. 29.
다발성근염 정보 총정리 (정의 증상 진단 치료 예후 관리) 1. 다발성근염의 정의와 원인다발성근염은 주로 몸의 큰 근육들, 특히 팔과 다리의 근력을 점차 약화시키는 만성 염증성 근육질환입니다. 면역계의 이상 반응에 의해 자신의 근육 세포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분류됩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소인, 바이러스 감염, 면역계 이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바이러스 감염 후 염증성 근육질환이 발병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어, 외부 병원체에 대한 면역반응이 근육을 자가 공격하는 형태로 전환되는 것이 주요 발병 기전으로 추정됩니다. 여성에게서 남성보다 더 많이 발생하며, 주로 30~60대에서 호발합니다. 이외에도 특정 약물이나 독소 노출이 발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드물게 암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경우도 있.. 2025. 6. 28.
항인지질항체증후군 (정의 증상 원인 진단 치료 예후) 정보 총정리 1. 항인지질항체증후군이란 무엇인가?항인지질항체증후군(Antiphospholipid Syndrome, APS)은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체내에서 비정상적인 항체인 ‘항인지질항체(Antiphospholipid Antibodies)’가 생성되어 혈액 응고 시스템에 이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 항체들은 원래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면역 시스템의 일부지만, APS 환자의 경우 오히려 자신의 세포막 성분인 인지질(Phospholipid)이나 인지질과 결합하는 단백질에 대해 면역반응을 일으킨다. 그 결과 혈관 내 혈전(피떡)이 쉽게 생성되어 다양한 혈전성 질환을 유발한다.이 증후군은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뉘는데, 일차성은 다른 자가면역질환 없이 단독으로 발생하며, 이차성은 전신홍반루푸스(SLE)와 같은 다른 자가.. 2025. 6. 28.